1. 우리나라의 항공운송산업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뒤늦게 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항공운송산업은 오늘날 세계 10위권으로 부상하면서 세계 민간항공시장에 확고한 지위를 구축하고 있다. 이같은 산업발달의 배경에는 1960년대에 이미 항공사의 민영화가 이루어지고 동시에 경제 전반에 걸쳐 고도성장이 지속되면서 산업도약의 토양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점진적인 규제완화와 함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해 오고 있는 우리나라의 항공운송의 발달과정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2. 민간항공의 태동
1945년 해방 후부터 1962년 2월 대한항공공사법의 제정에 따라 국영 항공사인 대한항공공사가 설립되기까지의 시기를 우리나라 민간항공의 태동기라고 할 수 있다. 최초의 정기운송은 정부수립 직후인 1948년 10월 대한국민항공사(KNA)가 개인기업의 형태로 설립되어, 서울-강릉, 서울-광주-제주, 서울-옹진, 서울-부산 등 4개 노선에서 취항함으로써 시작되었다. 한편 국제운송은 이보다 앞서 1946년 하반기에 미국의 노스웨스트항공이 미군정하에서 처음으로 서울-동경 구간을 취항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그리고 1953년 한국전쟁 직후 DC-3를 비롯하여 새로운 기종인 DC-4를 도입하여 정기운송을 재개하였으며, 1954년에는 영국과 잠정적인 항공협정을 체결함으로써 국제운송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를 계기로 1955년부터 국내노선이 크게 증가하고, 서울-홍콩간의 동남아 국제노선이 개설되면서 국제수지 측면에서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 당시 잠재적인 운송수요는 한국-일본과 한국-미국 노선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한-일 노선은 이미 미군정시대에 체결된 잠정적인 항공협정에 따라 노스웨스트항공에 일방적인 운항권을 부여하고 있었다. 그후 미국의 일방적인 권리만을 규정한 불합리한 잠정협정의 개선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의 지속적인 요구에 따라 1957년 불공정한 조항들이 대폭적으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1961년 제2공화국의 출범과 함께 개인기업의 형태로 운영되어 오던 민간항공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이 시기 동안 진행된 주요 사건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1927. 6. 1 조선항공법 시행(일본항공법 준용)
- 1946. 3. 1 조선항공공업사, 정기운송사업면허 취득 및 대한국제항공사로 개칭
- 1946. 7. 15 노스웨스트항공(NWA) 서울 취항
- 1948. 10. 1 대한국민항공사(KNA) 설립
- 1948. 10. 30 대한국민항공사(KNA), 서울-부산 노선 해방 후 최초의 민항운송
- 1949. 6. 29 한-미 잠정항공협정 체결
- 1952. 7. 27 국제민간항공조약(시카고 조약) 가입, ICAO 회원국으로 등록
- 1957. 4. 24 한-미 항공협정 체결
- 1957. 9. 19 김포국제공항 개항
- 1961. 3. 7 신항공법 공포(법률 제 591호)
- 1962. 12. 2 대한항공공사의 국내선 정기운송업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