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공운송산업의 도약(1958~1978)
1.1 제트시대의 개막
세계의 민간항공은 소위 제트시대를 맞이하면서 제1차 석유파동이 있기 전인 1970년대 전반까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제트기의 도입에서부터 산업의 규제완화 이전까지의 시기를 항공운송의 도약기라 한다. 1958년을 전후하여 개발이 완료되어 업계에 도입되기 시작한 제트기는 오늘날 항공관광을 비약시킨 혁신적인 여행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1960년대 중반은 이러한 제트기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초음속항공기에 대해서도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프랑스와 영국이 공동으로 개발한 초음속 여객기인 콩코드기가 1976년 정기노선에 취항함으로써 소위 초음속여객기의 시대를 열었다. 한편, 미주와 유럽지역에서는 전세항공(charter)이 활발히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북대서양 횡단노선에서 전세기의 취항이 급속히 확대됨으로써 세계적으로 항공여행시장의 확장에 기여하였다.
1.2 시장환경의 변화
1970년을 전후로하여 세계적으로 환경보호단체들의 활동이 활발해짐으로써 환경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같은 환경변화는 세계항공업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항공운송시장의 성장과 비례적으로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과 공해의 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예를 들면, 1970년 미국에서는 환경보호국(EPA)이 설립됨으로써 환경문제에 관한 모든 정책들을 정부 차원에서 통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항공기의 수요자인 항공사와 공급자인 제작회사들은 공해나 소음 및 항공기의 운영절차에 있어서 소음이나 공해에 관계된 여러 문제들을 공동으로 인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항공운송의 발전은 1970년대에도 전반전으로 지속되기는 하였으나 1960년대의 성장률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1974년 석유파동 및 경기침체, 공급과잉, 임금과 유가의 상승에 기인한 운항비용의 증가 때문이었다. 항공운송시장은 이때부터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2. 글로벌 경쟁시대
2.1 규제완화법(1978)의 제정
이 시기는 대형제트기인 B747 시리즈, 록히드사의 L1011, 더글라스사의 DC-10, 에어버스사의 A300 시리즈 등의 출현으로 항공운송의 또 하나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산업의 성장기인 동시에 기술적인 면에서는 항공산업의 절정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산업의 전반적인 여건은 비교적 불안정하였다. 1970년대 중반의 2차 석유파동으로 인해 세계경제의 성장이 둔화되었다. 그리고 1978년 미국의 항공운송산업 전반에 대한 규제완화법의 제정은 산업초기부터 각국 정부에 의해 기간산업으로 보호되고 육성되어 오던 민간항공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는 계기가 되었다. 규제완화법은 1980년대 이후 각국의 항공정책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규제완화추세의 확산은 각국의 영공개방을 의미하는 오픈스카이정책으로 발전하면서 오늘날 세계 항공업계에서 큰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규제완화는 산업이 태동한 이후 국제항공시장의 질서를 가장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항공운송기업의 경영환경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2.2 세계 항공업계의 현황
1990년대는 산업의 부침이 심했던 시기이다. 1990년도에 시작된 전반적인 세계경제의 침체, 1991년의 걸프전쟁, 국제분쟁으로 인한 항공기 테러 등에서 기인된 항공여행수요의 감소 등으로 인한 초반 동안 업계는 심한 불황을 겪었다. 또한 1980년대 많은 항공사들은 운송수요의 지속적인 성장을 예상하고 새로운 기종의 항공기들을 대량으로 도입하였는데, 이는 1990년대 초기에 항공사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 또 다른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세계항공업계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항공사들의 경영합리화 노력과 세계경기의 회복, 구소련 및 동구 공산권의 붕괴로 인한 냉전시대의 종식, WTO체제의 등장과 이로 인한 글로벌 시장경제의 출현 등의 변화로 경영여건이 크게 개선되었다. 동시에 각국의 영공통과가 이전보다 원활해졌다. 그 결과 단축된 운항시간, 항공기술의 발달에 기인한 항공기의 안전성과 효율성의 향상 및 첨단설비의 장착 등은 항공운송여건을 크게 변화시켰다.
21세기에 들어서도 지속되는 듯하던 호황기는 2001년 9월 11일 미국 뉴욕에서 발생한 항공기 테러에 의한 참사로 인해 항공여행의 수요가 세계적으로 격감하게 됨으로써 또 다른 불황국면에 접어들기도 하였다. 특히 항공여행객의 감소와 항공보안에 대한 대책마련 등이 항공ㅇ군송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과제로 대두되었다. 이 기간 동안 스위스항공과 벨기에의 사베나항공 그리고 뒤이어 호주의 안셋호주항공 등이 파산하였고, 세계 최대의 항공사인 미국의 유나이티드 항공과 아메리칸항공 등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었다. 특히 항공기테러에 대한 보안의 문제가 국제적으로 널리 부각되고 보안제도가 강화되기 시작하였다.